매주 금요일 듣똑라 소식을 담아 레터를 보내드립니다💌 듣똑러님께 드리는 이번 주 듣똑라 CURATION |
|
|
|
듣똑러님, 안녕하세요! 홍상지입니다. 오랜만에 레터로 인사드리네요.🙋
연말이 되니 올해 있었던 일들을 하나씩 돌아보게 되는데요. 기억에 남는 일이 하나 있어 듣똑러님에게 들려드리고 싶어요. 올해 초 혼자 동네 근처로 사주를 보러 간 적이 있어요. 당시 저는 이런저런 크고 작은 일로 갈피를 잡지 못해 대차게 흔들리던 중이었죠😵 마침 제 또래의 여성분이 사주를 봐주시기에 괜히 긴장이 풀려 사주를 빌미로 조언을 구했어요. 상담이 끝나갈 무렵 그 분은 제게 이런 이야기를 해줬습니다.
“상지님, 차라리 마음껏 흔들리는 건 어때요? 지금 너무 꼿꼿하게 서있으려고만 해서 더 힘든 거예요. 실컷 흔들려요. 그래야 스스로 고집스럽게 쌓아놓은 벽을 깨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어요.”
별 생각 없이 보러간 사주에서 이런 조언을 듣게 될 줄이야. 이 말은 하반기에 저를 움직이는 동력이 됐어요🔥 잠시 나를 내려놓고, 평소라면 하지 않았을 활동들에 눈을 돌렸죠. 새로운 사람들도 전보다 훨씬 많이 만났고요. 스스로 쌓은 벽을 저도 한 번쯤 깨보고 싶었거든요. 그래서 결국 깼냐고요? 글쎄요. 그건 모르겠는데 일단 뭐.. 재밌었어요! 덕분에 올 연말까지 무사히 보낼 수 있었고요. 특별할 건 없지만 ‘무사히’에 방점을 두고 싶네요🤗
얼마 전 ‘단단한 마음’ RACE 라이브에서 안주연 마인드맨션 원장님을 오랜만에 만났어요. 라이브에서 ‘자존감은 유년기에 (양육자와의 관계, 보살핌 등에 의해) 결정되는가?’에 대해 잠시 이야기를 나눴어요. 답은 X였죠. X인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었지만, 성인이 돼서도 여러 사람들과 다양한 관계를 맺으며 서로 영향을 주고받을 기회가 얼마든지 있기 때문이었어요🧡
라이브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 문득 타인과의 관계가 내 자존감을 온전히 좌우하진 않더라도 크고 작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 ‘우린 서로의 공동양육자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올해 초 처음 본 사주 선생님한테 제가 영향을 받았던 것처럼요. 그렇게 우리 각자의 인생은 ‘너’와 ‘나’의 내밀한 협업인 거죠. 2024년을 앞두고 내년엔 주위 사람들에게 좀 더 좋은 공동양육자이고 싶은 요즘입니다. 듣똑러님은 어떠신가요?
|
|
|
[LIVE🎦] 총선 예비후보 등록 D-7, 근데 선거구도, 룰도 없다고? (with 채윤경 기자) | 2024 총선 |
|
|
내년 4월 10일 열리는 제22대 총선의 예비 후보 등록일은 12월 12일입니다. 총선 준비를 위해 각 당은 총선기획단을 꾸리고 본격 준비태세를 갖추고 있는데요. 그런데 정작 선거를 어떻게 치를지 '게임 룰'은 정해지지 않았다는 것 알고 계신가요?🙄 총선과 더불어 대통령의 개각 단행, 정치권 제3지대, 선거제도 등등 하루가 다르게 정치권에서 새 뉴스가 쏟아지고 있는 12월! 이지상&채윤경 기자가 그간의 정치 뉴스를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져봤어요. |
|
|
[WORLD🌍] 게이와 초콜릿이 갈등의 씨앗이 된 이유는? | 문화전쟁 | 디즈니 |
|
|
이번 주 듣똑라 WORLD에서는 최근 미국에서 핫한 키워드인 '문화전쟁(Culture War)'에 대해 알아봤어요. 문화전쟁은 성소수자, 이민자 등 흔히 문화라고 여기는 영역을 두고 보수vs진보가 논쟁을 벌이는 현상인데요💥 대표적인 사례로 플로리다주의 '돈 세이 게이 법(Don't Say Gay Bill)'을 들 수 있어요. 학교에서 교사가 아이들에게 성소수자에 대한 이야기를 하지 못하도록 한 법으로, 정치적 올바름(Political Correctness, PC)을 추구하는 디즈니가 이 법안에 반대 성명을 내 생긴 주지사와의 갈등이 문화전쟁의 중심에 서있죠. 그 외에 M&M's 초콜릿, 버드와이저 맥주 등도 보수층의 공격을 받고 있는데요, 미국의 상황과 정치와의 관계성을 들여다봅니다👀 |
|
|
[CULTURE📽️] 2024 콘텐츠 메가 트렌드 키워드 8은? | 2024 콘텐츠 트렌드
|
|
|
오징어게임2, 스위트홈3, 인사이드아웃2, 듄2 등 2024년에 공개되는 콘텐츠 라인업이 어마어마하죠. 한국콘텐츠진흥원과 함께 2024 콘텐츠 시장의 메가 트렌드를 다양한 사례와 함께 살펴봤어요.
[미리보는 콘텐츠 트렌드]
💬 퍼플 오션: 레드 오션에서 발상의 전환을 통해 블루 오션을 찾는 경영 전략
💬 입체적 IP 시점: 유통, 관광, 금융 등 연관 산업을 입체적으로 넓히고 있는 IP 산업
💬 UR 콘텐츠: AR, VR, 생성형 AI, 모션 캡처 등의 발전된 기술을 활용하여 압도적인 몰입감 및 가상 인물과의 교류 등을 제공하는 Unlimited Reality, UR 콘텐츠 |
|
|
매주 화,수,목 오전 7시 업로드
다음 주에도 듣똑라하세요! |
|
|
12.12 TUE
[YEARS📆] 매년 2만명이 선택하는 요즘 '자퇴' 이야기
요즘 고교 '자퇴'는 예전 고정관념과는 달라졌다는 얘기 들어보셨나요? 자신의 진로를 미리 정하고 자퇴를 선택하는 학생부터 극상위권 학생들의 '입시 전략'까지 다양해졌다고 하는데요. 코로나 이후 매년 늘고 있는 자퇴 추세와 선택을 하는 학생들의 이야기를 듣똑라 YEARS에서 담아봤습니다.
12.13 WED
[ECONOMY💰] 그대들, 인생을 팝업스토어처럼 살다 갈 텐가
'경제 공부해야 되는데…' '자꾸 이렇게 소비만 하면 안 되는데…' 의지와 다르게 마음잡기 어려웠던 듣똑러를 위한 이코노미 송년 특집 스페셜! 2030의 먹고사니즘이 고단할 수밖에 없는 이유, 그럼에도 할 수 있는 것을 찾아봐야 하는 이유를 '뼈 때리기 장인' 이현 기자가 뉴스로 이야기해 봅니다.
12.14 THU
[DISCOVER🔎] 사적제재의 양면과 비이성적인 혐오, 선택적 팩트체크
연말이 되니 지난 한 해 동안 우리 사회가 어땠는지 되돌아보게 됩니다. 참 많은 일들이 있었죠. 크고 작은 사건사고 소식들이 빠르게 사람과 사람 사이로 옮겨 붙으며 다같이 분노하고, 또 다같이 안타까워 하기도 했습니다. 그 과정을 돌아보며 올해는 우리 사회에 ‘이런 흐름이 있었지’ ‘이건 좀 다시 생각해보자’ 싶은 내용들을 다음 주 DISCOVER에서 정리해보겠습니다.
|
|
|
듣똑라 이슈를 더 꼼꼼히 살펴보고 싶다면?
더 똑똑해지는 자료!
|
|
|
일과 삶의 관계에 대해 고민해볼 수 있는 책을 소개합니다! |
|
|
커리어 그리고 가정
클라우디아 골딘 | 생각의힘
#2023 노벨경제학상 #성별 소득 격차
|
|
|
일은 당신을 사랑하지 않는다
세라 자페 | 현암사
#노동의 본질 #일을 사랑한다는 환상
|
|
|
이번 주 듣똑라는 어떠셨나요?
듣다보면 똑똑해지는 듣똑러 피드백 |
|
|
이번 주는 듣똑라 유튜브에 올라온 댓글을 공유합니다✨
ㄴ 산책하면서 너무 재밌게 잘 들었습니다.
ㄴ 역시나 재미있는 정치 이모저모! 재밌게 잘 들을게요!!
ㄴ 이번 주부터 아침마다 지하철역 앞에서 피켓 든 분한테 뻘쭘하게 인사를 받고 있는데 확실히 선거의 계절이 오긴 했나봐요.
ㄴ 세계가 대혼란의 시대같아요. 혐오가 오히려 표현의 자유가 되고 탈혐오가 위법이 되는 이 역설을 어떻게 타개할 수 있을까요? 요즘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가 다 심란하네요.
ㄴ 디즈니, 초코렛 등 문화전쟁 이면에 정치문제가 있네요~모든 것은 정치적인 문제로 시작되는군요.
ㄴ 보고 있으니 내년 K-콘텐츠에 대한 기대가 더 커지네요.
ㄴ 처음 듣는 용어도 친숙한 예시와 함께 다양하게 설명해주셔서 쉽게 이해할 수 있었어요.
|
|
|
👇 전하고 싶은 의견이 있다면 아래 링크를 눌러주세요 |
|
|
📧 똑똑한 라이프에 관심이 많은 친구, 동료에게 듣똑라를 추천해주세요 |
|
|
|